생각정리/Redis
레디스 설치
생각중임
2024. 2. 8. 21:42
윈도우 레디스 설치
wsl는 윈도우에서 리눅스의 일부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으로 wsl를 이용해 레디스를 사용할 수 있다.
$ wsl --install
wsl를 이용해 ubuntu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준다.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부팅을 해준다.
-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LTS를 다운로드하여준다.
- 설치 후 열기를 눌러 ubuntu terminal을 실행해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설정해 준다.
- wsl 버전을 1이라면 업데이트를 해주고 다른 시스템이 기본값이라면 ubuntu로 변경해 사용해 준다.
- wsl -s 변경할 시스템명 : 기본값 자체를 변경
wsl를 이용해 우분투 환경에서 레디스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 wsl를 실해 우분투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wls
-- redis 설치
$ curl -fsSL https://packages.redis.io/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redis.io/deb $(lsb_release -cs)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redis.li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redis
서버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설정 추가
$ sudo systemctl --now enable redis-server
Mac 레디스 설치
맥에서는 Homebrew를 이용해서 쉽게 레디스를 설치할 수 있다.
$ brew install redis
레디스 실행
$ brew services start redis
레디스 접속
-- redis-cli -h <ip주소> -p <port> -a <패스워드>
$ redis-cli
- 레디스 접속확인
powershell로 레디스에 직접 데이터를 넣고 조회를 가능하지만, 레디스를 스프링에 접목시켜 사용을 할 예정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문자열 데이터만 한번 넣어보고 프로젝트에 적용을 시켜 테스트를 한번 해보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