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정리/코딩테스트
[JAVA][Level1]PROGRAMMERS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생각중임
2023. 8. 19. 23:35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문제 설명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사항
-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money ≤ 1,000,000,000, money는 자연수
-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 count : 1 ≤ count ≤ 2,500, count는 자연수
입출력 예
price | money | count | result |
3 | 20 | 4 | 1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이용금액이 3인 놀이기구를 4번 타고 싶은 고객이 현재 가진 금액이 20이라면, 총 필요한 놀이기구의 이용 금액은 30 (= 3+6+9+12) 이 되어 10만큼 부족하므로 10을 return 합니다.
주어진 문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int[] answer = {};
return answer;
}
}
나의 문제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long price, long money, int count) {
// 제한사항에서 money가 int형의 범위를 넘어 int를 long으로 변경
long answer = money - price * (count * (count + 1) / 2) < 0? Math.abs(money - price * (count * (count + 1) / 2)):0;
// for-loop를 이용해 money에 빼준다.
for (int i = 1; i <= count; i++) {
money -= price * i;
}
// 돈이 -이면 절댓값을 answer에 넣어준다. 아니면 0
if (money < 0) {
answer = Math.abs(money);
} else {
answer = 0;
}
return answer;
}
}
- for-loop를 이용해서 money에 price곱하기 count수만큼 해준다.
- money가 마이너스인 경우 절댓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아니면 0으로 출력
다르게 풀어본 풀이
import java.util.stream.LongStream;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long price, long money, long count) {
// 제한사항에서 money가 int형의 범위를 넘어 int를 long으로 변경
long answer = 0;
// 스트림을 이용한 문제풀기
long temp = money - LongStream.rangeClosed(1, count).map(i -> price * i).sum();
if (temp < 0) answer = Math.abs(temp);
else answer = 0;
return answer;
}
}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long price, long money, int count) {
// 제한사항에서 money가 int형의 범위를 넘어 int를 long으로 변경
long temp = money - price * (count * (count + 1) / 2);
long answer = temp < 0? Math.abs(temp):0;
return answer;
}
}
기본 문제풀이는 for-loop로 간단한게 풀어 스트림으로도 풀 수 있을 것 같아 스트림을 이용해서 구현을 해보았는데 그냥 for-loop보다 느리게 나왔다. 역시 간단한 수학적으로 푸는 문제에서는 스트림이 짧아 보일 수는 있겠지만 효율면에서는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던 중 등차수열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풀면 매우 간단한 걸 보고 등차수열을 이용해서 삼항연산자를 통해 답을 구해보았다.
역시 수학적으로 알면 생각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아 조금씩이라도 수학을 공부해야 할까 싶다..
문제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2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