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내용
JPA를 바로 JDBC 템플릿으로 예전에 사용해 보고 바로 Spring Data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사용을 하다 보니 편리함이 매우 커 사용하기에는 편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쿼리를 최적화 하는 단계에서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쿼리를 직접 작성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문법에 차이가 발생하고 JPA와 Spring Data JPA의 차이에서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겼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하나하나에서 찾아보기보다 처음부터 한번 내용을 이해를 잡고 가기 위해서 JPA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사용해 보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 듣기
- 회원, 상품, 주문 도메인이 있는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도메인 모델과 테이블을 설계하고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구성한 뒤 간단한 비즈니스 로직을 테스트와 함께 개발을 하고 화면을 구현해 보았습니다.
- 이전에 프로젝트에서 Spring Data JPA를 사용해 만들었던 것과 JPA를 비교하면서 둘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듣기
- 영속성 컨텍스트의 동작 방식을 알 수 있었고, 상태에 따른 엔티티의 생명주기를 알 수 있었습니다.
- 상속관계 매핑의 사용 전략과 공통 정보 매핑을 알 수 있었습니다.
- JPA에서 프록시가 어떻게 사용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 JPQL의 정의와 다양한 작성 방법들(Criteria, QueryDSL 등), 사용하는 문법(조인, 서브쿼리, 페이징 등)을 알 수 있었습니다.
- JPA에 관한 용어들의 정의 정리 및 사용법 정리
- 위에서 나온 기본적인 용어들 정리
- 영속성 컨텍스트 - 필수 이해
- 연관관계 매핑 - 제일 중요
- JPQL - QueryDSL, 조인, 서브 쿼리 - 쿼리 최적화에 중요
다음 주 목표
- JPA의 다양한 활용법 알아보기
- JPA를 이용한 성능 최적화 알아보기
'생각정리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주 정리 : 24_04 3주차 (1) | 2024.04.21 |
---|---|
한 주 정리 : 24_04 2주차 (0) | 2024.04.14 |
한 주 정리 : 24_03 4주차 (0) | 2024.03.31 |
한 주 정리 : 24_03 3주차 (0) | 2024.03.24 |
공채에 대한 좋은 경험 (1)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