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내용
엔티티 간의 연관관계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 조회 시에 발생하는 쿼리를 최적화해서 N + 1문제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고 Spring Data JPA을 사용하였지만, 공통 인터페이스를 메서드 이름으로 쿼리를 생성하는 위주로의 활용을 하여서 Spring Data JPA의 다양한 활용방법을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실무에서도 JPA나 Spring Data JPA중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같이 사용하면서 적합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파악해 이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 주문 조회 API를 xToOne 연관관계를 기준으로 엔티티를 DTO로 변환하는 방법과 JPA에서 DTO로 바로 조회하는 방법으로 어떤 식으로 성능을 최적화하고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 주문 조회 API를 OneToMany 연관관계를 기준으로 엔티티를 DTO로 변환하는 방법과 JPA에서 DTO로 바로 조회하는 방법으로 어떤식으로 성능을 최적화하고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 수 있었고 xToOne 연관관계와 어떤 차이점이 있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 JPA와 Spring Data JPA의 문법차이와 구현되는 방식을 알 수 있었습니다.
- JPA로 구현하는 기능들을 쿼리 메소드를 활용해 간단히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기능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 Spring Data JPA에서만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해서 Web 개발에 도움 되는 기능들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 JPA에 관한 용어들의 정의 정리 및 사용법 정리
- 위에서 나온 기본적인 용어들 정리
- 상황별 최적화방법 정리
- 쿼리 메소드 기능 정리
다음 주 목표
- QueryDSL 문법과 활용법 익히기
- DB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기 (커넥션 풀, 트랜잭션 등)
'생각정리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주 정리 : 24_04 4주차 (0) | 2024.04.29 |
---|---|
한 주 정리 : 24_04 3주차 (1) | 2024.04.21 |
한 주 정리 : 24_04 1주차 (0) | 2024.04.07 |
한 주 정리 : 24_03 4주차 (0) | 2024.03.31 |
한 주 정리 : 24_03 3주차 (0)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