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기 사이클
문제 설명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 없음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입출력 예
answers | return |
26 | 4 |
55 | 3 |
1 | 60 |
0 | 1 |
71 | 12 |
나의 문제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N = br.readLine();
int cnt = 0;
if (Integer.parseInt(N) < 10) N = String.format("%02d", Integer.parseInt(N));
String temp = N;
if (N.equals("0")) {
System.out.println(1);
} else {
while (true) {
if (Integer.parseInt(temp.substring(0, 1)) + Integer.parseInt(temp.substring(1, 2)) < 10) {
temp = temp.substring(1, 2) + Integer.toString(Integer.parseInt(temp.substring(0, 1)) + Integer.parseInt(temp.substring(1, 2)));
} else {
temp = temp.substring(1, 2) + Integer.toString(Integer.parseInt(temp.substring(0, 1)) + Integer.parseInt(temp.substring(1, 2))).substring(1, 2);
}
cnt++;
if (temp.equals(N)) break;
}
System.out.println(cnt);
}
}
}
- 버퍼리더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받는다.
- 주어진 값이 한 자리수 일 경우 포맷을 이용해서 0을 붙여 변경한다.
- 0일 경우 1을 출력해준다.
- 연산에는 Integer.parseInt으로 숫자로 변경시켜 연산에 사용을 하고 substring으로 십의 자릿수와 일의 자릿수를 나누어 사용하여 계산한다.
느낀 점
기본적인 수학적 방식을 문자와 숫자를 형변환을 계속해가면서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형변환을 사용하면 처리시간이 느릴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빨라서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을 거 같다.
'생각정리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알고리즘]BAEKJOON 10828번 스택 (0) | 2023.07.28 |
---|---|
[JAVA 알고리즘]BAEKJOON 1002번 터렛 (0) | 2023.07.28 |
[JAVA 알고리즘]BAEKJOON 1929번 소수 구하기 (0) | 2023.07.27 |
[JAVA 알고리즘]BAEKJOON 10250번 ACM 호텔 (0) | 2023.07.27 |
[JAVA 알고리즘]BAEKJOON 2869번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0) | 2023.07.26 |